
2023 대백제전 개요
- 기간 : 2023년 9월 23일(토) ~ 10월 9일(월)
- 장소 : 충청남도 공주시, 부여군 일원
- 주제 : 대백제, 세계와 통(通)하다
- 주요내용 : 개·폐막식, 공연, 퍼레이드, 전시, 체험프로그램 등
- 주최·주관 : 충청남도 · 공주시 · 부여군 / (재)백제문화제재단

백제문화제 유래
1955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역사문화축제
- 1955 부여지역의 유지들이 뜻을 모아 ‘백제대제집행위원회’를 구성하여 ‘백제대제’를 거행한 것이 기원
- 1957 제11회 때부터 ‘백제문화제’로 명칭 변경
- 1960’s 제의적 성격에서 종합문화축제로서 변화
- 2007 백제문화제추진위원회 (현 백제문화제재단) 설립
- 1966 공주군(현 공주시)이 백제문화제에 참여
- 1965 충청남도 주최로 이양된 뒤 행사 규모 확대
- 2010 2010 세계대백제전 개최를 통해 세계적 역사문화축제로 발돋움
- 2023 2023 대백제 성공적 개최로 한류원조 백제문화의 새로운 도약!
행사장안내도
공주

부여

입장권 * 2023년 9월 25일 기준
호우 피해로 인해 공주시 미르섬 입장료가 한시적으로 무료입장으로 변경
- 공주시 금강신관공원 : 무료
- 공주시 미르섬 : 무료(한시적)
- 부여 백제문화단지 : 무료
- 공주 미르섬 입장료 변경 안내(한시적 무료입장)
- 부교 복구에 따라 유료입장으로 전환 시 추후 공지예정
복구가 완료되면 이 전 요금으로 정상화될지 어떨지는 방문 전에 꼭 확인해 보고 가시길 바랍니다.
주요행사
- 대표프로그램 : 수상멀티미디어쇼, 미디어 아트관
- 공연프로그램 : 웅진판타지아(공주), 웅진성 퍼레이드(공주), 다시보는 사비백제의 禮(부여), 백제문화 판타지 퍼레이드(부여)
- 전시프로그램 : 웅진백제등불향연(공주), 웅진백제별빛정원(공주), 백제 옛다리(부여), 사비의 밤(부여)
- 체험프로그램 : 백제마을 고마촌, 사비백제 체험관, 백제정찬, 사비백제 저잣거리
- 시군참여공연 : 13개 시군(계룡시, 금산군, 논산시, 당진시, 보령시, 서산시, 서천군, 아산시, 예산군, 천안시,청양군, 태안군, 홍성군)
- 백제 해외 교류국 초청 공연 : 7개국(일본, 중국, 카자흐스탄, 캄보디아, 미얀마, 인도네시아, 베트남)
- 전통문화공연 : 청춘 연희열전, 탈춤페스타, 세계무형문화유산 전통공연, 삼도백제전, 세계사물놀이
- 친환경 프로그램 : 친환경 놀이공간, 친환경 체험, 친환경 퍼포먼스, 친환경 캠페인
셔틀버스
셔틀버스와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으며,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셔틀버스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관람할 수 있습니다. 셔틀버스 이용요금은 무료이며 행사 중에만 운영됩니다. 운행간격은 30분 간격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주노선
- 노선1: ①인문대 - ②교양관 앞(3주차장) - ③1주차장 - ④5주차장 - ⑤3주차장 - ⑥4주차장
- 노선2: 둔치육교 - k마트 맞은편 - 농협 강북지점(신관사거리) - 이솔아파트 앞 - 현대5차 버스정류장 - 현대3차 버스정류장 - 주공3차 버스정류장 - 우남퍼스트빌 버스정류장 - 지평더웰아파트 버스정류장 - 홍화허브아파트 버스정류장 - 월송아파트 버스정류장 – CU편의점 - 공주대 중앙분수대 - 둔치육교
- 노선3: [의당방면 / 1시간마다 배차] 충남공무원교육원 - 종합사회복지관 - 둔치육교
- 노선4: [강남방면 / 1시간마다 배차] 공산성 - 무령왕릉과왕릉원 - 둔치육교
부여노선
- 노선1: 오수리·아름마을 승장강(북쪽) - 오수리·아름마을 승장강(남쪽) - 백제문화단지 승강장(신리 방향)-신리주차장(4주차장)-백제문화단지 승강장(3주차장 방향) - 오수리·아름마을
- 노선2: 백제문화단지 – 동부농협사거리 - 관광주차장 – 뚜레쥬르 – 관광식당 – 하겐커피 – 성요셉의원 – 서독안경원 – 부여성당 – 군민체육관 – 민윤기치과의원 – 올포유 – 오케이마트 – 백제문화단지
푸드존
행사장 내에는 푸드존이 마련되어 있으며 분식, 한식 뿐만아니라 다양한 세계음식도 있고 음료나 디저트를 즐길 수 있는 카페들도 곳곳에 마련되어 있습니다. 행사장을 둘러보며 간단히 요기하거나 식사를 즐길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2023년 대백제전에서는 일회용 종이컵 사용이 제한됩니다. 대신 음수시설마다 텀블러 세척기가 설치될 예정이니 텀블러를 지참하여 축제에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환경을 지키면서 옛 백제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즐거운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축제정보
축제 일정 및 편의시설, 지도등은 행사장 공식 홈페이지를 방문하시면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홈페이지: https://www.baekje.org/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가을 단풍 절정시기 (1) | 2023.10.03 |
---|---|
이응다리(금강보행교) 즐기기 (0) | 2023.09.29 |
중미산자연휴양림, 서울근교에서 산림욕즐기기 (0) | 2023.09.25 |
덕수궁, 서울 도심속의 아름다운 역사 (0) | 2023.09.17 |
서울의 랜드마크 남산타워, N서울타워 (1) | 2023.09.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