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전주 경기전 산책하기

by 고보름 2023. 3. 3.

경기전

전라북도 전주시 풍남동에 있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어진(임금의 초상화)을 봉안한 곳이며, 영정을 실제로 모시고 있는 정전 건물은 보물 제1578호입니다.  1442년(세종 24년)에 건립하여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으나, 영정은 묘향산 보현사에 옮기어 보존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의 건물은 1614(광해군 6)년에 고쳐 지은 것입니다. 1991년에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문화재청 공식 명칭은 '전주 경기전'입니다.

경기전


'경기'라는 이름은 조선의 국성인 전주 이 씨의 발상지이므로 '경사스러움이 터 잡은 곳'이라는 뜻으로 지은 것입니다.

임진왜란 당시 이 경기전을 제외한 4곳은 모두 불탔고 정유재란 때 이 경기전마저 불에 타 소실되었습니다. 그 이후 광해군 때 경기전만 복원했습니다. 태조 이성계의 어진은 임진왜란 당시 묘향산으로 옮겼고 병자호란 때에는 무주 적상산, 정유재란 때는 서울 명륜당으로 옮겼습니다. 그리고 동학농민운동 때는 위봉산성을 오 옮기어  보존할 수 있었습니다.

경기전에 있는 어진은 고종 9년인 1872년에 원본이 너무 오래되어 모사한 것입니다. 현재 경기전 진전에 있는 어진은 모사본이며 원본은 어진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습니다. 원본은 어진 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는데 원본은 1년에 1번 11월 중에 약 3-4주간 전시된다고 합니다.

전주한옥마을 내에 있는 경기전은 역사적으로 문화적으로 가치가 있는 곳으로 한번 둘러보기를 추천합니다.

입장료는 성인은 3,000원, 만 24시 이하까지 2,000원, 만 12세 이하까지는 1,000원입니다. 65세 이상과 7세 이하는 무료입니다.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은 문화가 있는 날이라고 하여 전체 무료 관람입니다. 또한 한복 착용자는 관람료가 50% 감면된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람시간은 매일 9시부터 18시까지이며 하절기는 19시까지 개방하기도 하니 방문 전 관람시간을 확인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경기전은 주차장이 따로 마련되어있지 않으니 근처 공영주차장을 이용하여야 합니다.

경기전에서 입장권을 구매하고 경기전 내부로 들어오면 넓은 숲 광장이 나오는데 사진을 촬영하거나 산책하기 좋습니다.  특히 수령이 오래된 큰 나무들이 많이 있어 곳곳에 앉아 쉬기도 좋고 풍경을 감상하기도 좋습니다. 특히 경기전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계절에 상관없이 푸르른 색의 대나무 밭이 있습니다. 경기전의 포토존인 대나무 밭에서는 사진촬영 꼭 하시길 추천합니다.

태조 이성계 어진

정전

나무 사이 중앙길 안쪽으로 들어오면 태조 이성계의 어진이 봉안된 경기전 정전이 나타납니다. 실제 어진은 어진박물관에 있고 경기전 정전에 있는 어진은 모사품이지만 실제 어진가 유사하게 표현되어 임금의 웅장하면서도 경건한 느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전주사고

전주사고

정전을 나와 산책로를 따라 걷다 보면 전주사고가 나오는데 세종 21년에 설치된 전주사고는 실록을 비롯한 국가 중요서적을 보관한 곳이라 역사적으로 중요한 곳입니다. 우리나라의 사고는 네 곳이 있었는데 한양, 충주, 성주, 전주입니다. 전주사고는 경기전 내부에 있으며 지금 전주사고 내부에는 전시관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전시관 내부에는 전주사고에서도 보관했었던 조선왕조실록과 실록을 편찬했던 춘추관 사관들의 모습, 실록 제작 과정 등을 전시하고 있으니 경기전에 방문한다면 전주사고 내부도 관람하고 오시길 추천합니다. 
 
전주에 방문한다면 경기전에서 임금님의 어진도 관람하고 전주사고 내부 전시관에서 역사공부도 하고 산책도 하기 좋은 곳으로 꼭 한번 방문하시길 추천합니다.  


댓글